튜플(Tuple)은 리스트(List)와 비슷한 개념의 자료형이다. 리스트와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1. 한번 입력된 값을 변경할 수 없다. 튜플은 리스트와는 다르게 한번 입력된 값을 변경할 수 없다. 2. 소괄호를 사용한다. 이런식으로 하지만 각 원소에 접근은 가능하다. 다시말해 리스트와 기본적으로 사용방법은 동일하지만 값을 바꿀 수 없다는 차이점만 있다. 리스트처럼 원소를 여러개 즉,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2차원 튜플등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당연히 그 원소로 리스트가 될 수도 있다. 그냥 출력하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라인 6처럼 값에 접근해 변경하려고 하면 TypleError : 'tuple'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튜..
자주 사용하는 파이썬의 연산자들 1. 증감 연산자 - 기존에 사용하는 증가/감소 연산자를 짧게 이용하는 연산자 종류 : +=, -=, *=, /= 정확히 말하면 증감 연산자는 C, C++에 있는것처럼 a++이나 a--같은것이지만 파이썬에서는 쓰이지 않고 위의 4개를 그냥 증감 연산자 혹은 축약형이라고 부른다 2. 관계 연산자 - 값을 비교하여 관계를 알아내는 연산자 종류 : >, >=,
반복문이란 언어를 막론하고 "조건에 부합하는 한 특정한 명령어를 반복"하는 문법이다. i에 1부터 9까지의 범위를 반복해서 출력 for문은 어떠한 변수가 어떠한 범위만큼 반복을 할것인지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예시로는 range() 함수를 썻지만 여기에는 리스트, 문자열 등 대부분의 자료형이 들어갈 수 있다. 문자열이 들어간 예제 리스트가 들어간 예제 또한, 반복문하면 빠지지않는 break와 continue도 쓸 수 있다. 위는 i 나누기 2의 나머지값이 1일때 다시말해 '홀수'일때만 continue문이 실행되므로 2와 4만 출력된다 홀수일때 break 즉 가장 가까이 있는 반복문 하나를 탈출하므로 아무것도 sum에 저장되지 못하고 합계: 0 이 출력된다. 그다음은 while문이다 while문은..
파이썬에서는 정해진 '예약어' 라는것이 있는데 가령, 다른 라이브러리를 불러올때는 'import'라는 키워드를 사용한다. 또, for나 true, None등 다양한 키워드들은 예약어로써 파이썬내에서 변수나 함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for를 변수명으로 넣으면 오류가 난다) 다시말해, 예약어는 파이썬내에서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이 되겠다고 예약이 된 언어이다. 그렇다면, 파이썬에서 이용되는 모든 예약어에 대한 내용은 어디서 알아볼 수 있을까? 파이썬에서는 기본 라이브러리인 'keyword'라는 라이브러리에서 모든 예약어에 대한 내용을 담고있다. 말그대로 키워드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고있는 라이브러리 이런식으로 print(keyword.kwlist)라고 입력하면 예약어들이 리스트 형태로 출력된다 파이썬에서의..
파이참(PyCharm)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파이썬 개발환경 중 하나이다. 요즈음은 Visual Studio에서도 Python을 아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좀더 가벼운 개발환경을 원해PyCharm을 쓰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https://www.jetbrains.com/ko-kr/pycharm/download/ 다운로드 PyCharm: JetBrains가 만든 전문 개발자용 Python IDE 최신 버전 다운로드: PyCharm (Windows, macOS, Linux) www.jetbrains.com Ctrl + Alt + S 키를 누르면 설정창이 열리는데 Project interpreter에서 자신이 사용하고있는 파이썬 버전들과 다운받은 라이버러리들을 확인할 수 있다
들여쓰기 - 조건문, 반복문, 함수등의 다양한 문법등을 사용할 때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실행블럭, 즉 동일 선상의 실행구문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 특징으로 1. 첫 명령어는 들여쓰기 없이 시작한다 2. 파이썬에서는 조건문, 반복문등의 흐름제어 문법을 사용할 때는 콜론( : ) 으로 명령어의 끝을 알린다 3. 콜론( : )의 다음 줄부터는 들여쓰기의 간격이 모두 일정해야 한다 if문의 연산식이 True값을 가질때에만 콜론 다음줄의 내용이 실행된다. 이런식으로 파이썬의 조건문에서는 C언어같은 언어처럼 { } (중괄호) 를 사용하지않고 들여쓰기(탭)로 동일선상을 구분한다 else문 ..
파이썬은 리스트에 많은 함수들을 지원한다. 모든 함수들을 다 알필요는 없지만 자주 쓰이는 함수들을 알고있으면 빠르게 코딩할 수 있다 무조건 외울필요는 없지만 이런 함수들이 있다는것을 알고있으면 나중에 사용할 기회가 왔을때 검색해서라도 사용할 수 있다. ☞목차 count(원소) index(원소) append(원소) sort() extend(리스트) insert(인덱스, 원소) remove(원소) pop(인덱스) reverse() count() 함수 인자값으로 전달된 원소가 몇 개 포함되어 있는지 반환하는 함수 index() 함수 인자값으로 전달된 함수가 몇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반환 리스트 내에 존재하지 않는 원소를 인..
지금까지는 값을 하나씩만 담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없었다 하지만, 여러가지 값을 담아야 할때(가령 학교에서 몇백명의 학생들의 성적을 정리해야 할 때)는 변수를 몇백개 만들어서 처리하는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럿듯 데이터의 개수가 많아질때는 리스트, 튜플 등 다른 방법을 찾아야한다. 오늘은 그중에 리스트를 알아보자. 리스트(List) : 비슷한 성질을 가진 객체의 나열 위처럼 학생들의 학점만 입력하는데도 몇백개의 변수를 만들려고 하는것은 매우 비효율적이고 힘들다. 이때, students[1000]와 같이 대괄호를 이용해서 몇명의 학생정보가 담길지를 배열형태로 만들어준다 이를 리스트라고 한다. 리스트에서는 '인덱스'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인덱스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 줄여서 OOP) 파이썬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대표적인 언어중 하나 객체(Object)의 정의 - 실세계의 '사물' 잠시 다른이야기를 하면 가령, A = 10 이라는 코드를 작성하면 프로그래머는 A라는 변수에 10이 바로 담겼다고 느낄 수 있지만 실제로는 특정한 메모리 공간에 10이 저장되고 그 메모리공간의 '주소값'이 A에게 전달된다. 이러한것을 '동적할당' 이라고 한다 동적 메모리 할당 또는 메모리 동적 할당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실행 시간 동안 사용할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사용이 끝나면 운영체제가 쓸 수 있도록 반납하고 다음에 요구가 오면 재 할당을 받을 ..
유명한 알고리즘 사이트들 코드포스, 코드업, 백준 온라인 저지, 정보 올림피아드 등 https://blog.naver.com/rtem9005/222106084838 알고리즘 사이트 https://www.acmicpc.net/실시간으로 문제를 풀고 채점을 받고 다른사람들의 점수와 비교도 할 수 있다. blog.naver.com 백준 온라인저지 -> 로그인 -> 문제 -> 단계별로 풀어보기 -> 입출력과 사칙연산 A+B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첫째 줄에 A+B를 ..